'청년 문화예술패스'로 공연과 전시 즐기는 방법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장 함께 올해 19세가 되는 2006년생들을 대상으로 '청년 문화예술패슬'을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청년 문화예술패스'는 협력업체 인터파크와 예스 24에서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으로, 3월 6일(목)부터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24년 처음부터 시행한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청년의 적극적인 문화소비를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 관람을 지원하는 사업이라고 합니다. 올해는 2006년생(2006.1.1~12.31. 출생자)을 대상으로 발급한다고 합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2006년생 누구나 대한민국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으며'청년 문화예술패스'포인트는 협력 업체인 인터파크와 예스 24에서 뮤지컬, 클래식, 콘서트등의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정해진 청년수에 따라 신청순 발급하고, 지역별 발급 상황에 따라 조기에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둘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사용범위는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발레, 무용, 국악, 음악콘서트, 페스티벌, 전시에 속합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발급기간
'청년 문화예술패스'발급기간은 3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청년 문화예술패스'를 이용할 예매처에서 회원 가입을 한 후 청년 문화예술패스 누리집을 통해 발급 신청을 하시면 된다고 합니다. 발급 여부와 지원 금액은 누리집 마이페이지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올해 발급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의 이용 기간은 12월 31일까지 라고 합니다. 다만 5월 31일까지는 발급받은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6월 30일까지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을 경우는, 7월 1일부터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미사용자의 지원금은 환수하고 하반기 추가 발급을 통해 더욱더 많은 청년이 문화를 즐기고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3월부터 접수하니 미리미리 체크 후 평소 보고 싶은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하는 것도 다가오는 봄을 맞이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일정에 지장이 없도록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청년 문화예술패스 공연관람 및 전시 후기
국립발레단 등 11객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들은 '청년 문화예술패스'이용자를 대상으로 관람권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할인 혜택이 적용되는 주요 공연을 살펴보면 국립근단의 만선(3.6~30일), 국립심포니오케스라의 '베르디, 레퀴엠(3.9)', 뉴 오리진, 새로운 기원(3.30), 국립정동 극장의 '적벽(3.13~4.20), 국립현대무용단의 '인잇:보이지 않는 것(3.21~23)등이 있다고 합니다. 관람권 할인율은 공연마다 다르며 참여 기관과 공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3월 중순부터 '청년 예술문화패스'누리집과 누리소통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누리집에서 예매할 수 있는 주요 공연. 전시. 행사소식, 묻고 답하기, 개인별 패습 발급현황 및 잔여 포인트 등이 다양하게 제공된다고 합니다. 2024년도에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받은 2005년생 청년들의 공연과 전시를 이용후 선배로서 다양한 이용 후기가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연극이나 뮤지컬은 여러 번 보고 싶어도 비용이 부담돼 한번의 관람이 너무 소중했는데, 청년 문화예술패스로 마음에 드는 연극은 두 번 더 관람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청년 문화옌술패스 덕분에 19세로서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클래식을 오케스트라의 웅장한 연주와 함께 직업 듣는 것이 감동을 배가 되었다고 합니다.
-한참 힘든시기를 보내고 있던 저는 청년 문화예술패스로 가볍게 뮤지컬을 보고 오자는 마음으로 공연장을 찾았는데. 극이 끝나고 바로 제 돈으로 또 다른 공연을 예매했다고 합니다.
평소 보고 싶었지만 비용 부담으로 힘들었던 공연을 예매하거나, 한 번 관람으로 아쉬워 중저가의 공연을 여러 회차 예매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청년 문화예술 분야에 주체적인 소비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