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을 개시,주요 개정내용

by 뉴머니25 2025. 3. 18.
728x90
반응형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을 개시,주요 개정내용

환경부에서는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을 3월 17일 2025년 전기이륜차 보금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 및 2025녀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지침을 확정한다고 합니다. 국내에 전기이륜차 시장은 배달업의 증가로 인해 함께 성장하며 대기오염 저감도 도심지 생활소음 측면에서 내연기관에 비해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환경부가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침에 따라 연비,배터리 용량,등판능력 등 성능이 우수한 차량에 대해 보다 많은 보조금이 지급되도록 하여 국내에서 보급되는 전기 이륜차의 성능 향상을 유도한다고 합니다. 보조금 산정시 고정값을 활용하도록 하여 업계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기술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합니다.  올해 전기이륜차 2만 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 총 160억 원을 지급할 예정이며,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에도 500기 설치 지원을 목표로 총 50억 원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중. 장기적 기술투자를 위해 산정방식을 단순화하고 업계 건의를 고려한 것으로, 기존 보급대상 차량의 평균성능 등 변고값이었던 연비 및 등판계수를 2025년부터는 고정값으로 변경하여 예측 및 대비가 쉽게 이 루어지록 했다고 합니다.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이미지

첫째 개정내용 - 교환형 배터리 및 충전시설의 표준화를 유도

교환형 배터리팩과 충전시설은 2023년에 국가표준이 제정되었음에도 제작사별로 상이하게 배터리팩을 적용하고 있어 상호 교환사용하지 못하고 특정 충전시설만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2025년부터는 국가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미지원하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와 사용측면에서 비효율을 줄인다고 합니다.

둘째 개정내용-배터리교환형 전기이륜차의 지원을 확대

배터리교환형 전기이륜차는 전체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격이 빠져 성능에 따라서 산정한 보조금의 60%를 지급했으나, 올해부터는 70%를 지급하여 지원폭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어야 하는 교환형 특성상 배터리 용량을 높이기가 어려워 성능에 따라서 보조금을 차등 지급할 경우 불리하다는 의견 등을 반영한 조치라고 합니다.

셋째 개정내용-충전속도가 빠르고 , 배터리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우대

그동안 전기이륜차 이용의 주용 불편사항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충전속도를 개선한 차량, 소유주가 배터리 상태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 이용자 앱등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규모별 보조금 한도 내에서 보조금추가지원(최대 10만 원)한다고 합니다.

728x90